곧 결혼을 앞두고 있는데요 🎉
저희 신혼부부가 월세방을 구하는 과정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전세가 아닌 월세인 이유
저희는 전세가 아닌 월세로 신혼집을 구하려고 하는데요
주변에서는 왜 전세 안하고 월세를 하냐, 월세가 더 비싸지 않냐고 묻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보통은 전세가 더 저렴하다는 고정관념이 있는데요
아래의 항목들을 고려해서 잘 계산해봐야합니다
- 전세 대출 이자가 얼마인지?
- 전세대출 이자 소득공제는 얼마나 가능한지?
- 전세 보증금으로 묶이는 돈의 기회비용은 얼마인지?
- 계약할 만한 부동산 매물들의 전세 사기 위험이 얼마나 되는지?
- 전세 보증 보험료는 얼마나 되는지?
- 월세 납입액 세액공제는 얼마나 가능한지?
- 전세 대신 월세를 선택할 경우, 남는 목돈으로 기대할 수 있는 자본 소득은 얼마인지?
현재 자산, 투자 성향, 전세사기, 금리 등 상황에 맞게 판단해야합니다
무조건 전세가 싸다! 는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죠
자세한 내용은 아래 게시물들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감당할 수 있는 월세는?
주거비는 가처분 소득의 15% 이내로 정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부부 합산 소득이 세후 월 500 만원이라면 75만원 이내로 해결하는 것이 좋겠죠
저희 부부를 기준으로 계산을 해보니 세후 근로 소득대비 주거비가 17% 정도인데요
전세 대신 월세로 전환함으로써 남는 목돈으로 자본소득도 생기고
결혼 후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은 배우자가 세액공제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예상자본소득과 세액공제까지 계산에 포함하면 약 15% 입니다 🎉
원하는 매물 모니터링
좋은 조건의 매물은 빨리 연락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만 덥석 무는 것은 위험하고, 이미 마음에 드는 물건들이 정해져있어야해요
신혼집으로 마음에 드는 부동산 물건들을 이미 정해두었다면, 모니터링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네이버 부동산을 이용하면 원하는 매물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데요
저는 네이버페이의 부동산 탭에서 네이버 부동산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우선 신혼집으로 계약하고 싶은 부동산을 찾습니다
그리고 종 모양의 아이콘을 누르면 알림을 등록할 수 있는데요
원하는 조건으로 알림을 등록합니다
종 모양의 아이콘이 색칠되면서 "매물 알림을 받습니다." 메시지가 뜨면 끝입니다!
이제 알림 등록한 조건의 매물이 등록되면 단말기로 푸시 알림이 옵니다
푸시 알림이 오면 해당 매물을 올린 중개사님께 전화하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입니다
저는 이렇게 매물 알림을 등록해놓고 기다리던 와중 어느날 저녁에 푸시 알림을 받았었는데요
다음날 바로 중개사님께 연락하고 계약까지 스무스하게 진행됐습니다~!
계약하기
월세 계약은 전세와 다르게 보증금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크게 신경쓸 것은 없습니다
그래도 수백 ~ 수천만원 단위의 보증금이니 등기부등본도 챙겨보고 계약사항도 꼼꼼히 살펴봅시다..!
최근에는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도 필수이니, 계약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꼭 챙겨서 신고해야합니다!
마무리
월세로 신혼을 시작하는 것을 허용해준 예비신부에게 고마웠습니다
그리고 주변으로부터의 질문 공세에 고생한 예비신부에게 미안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 남에게 관심이 너무 많고 전세를 너무 좋아함 ㅠ)
좀 있어보이는 전세보다는 멋지게 아파트 매매하는 미래를 그리면서 행복한 신혼 생활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 지급 보류 (2) | 2025.01.19 |
---|---|
저는 보험이 필요 없어요 (0) | 2025.01.06 |
중개형 ISA 계좌 장단점 및 투자 계획 (2) | 2024.11.25 |
월세는 너무 비싸지 않니? (1) | 2024.05.24 |
캐시워크 돈버는 퀴즈 정답 (2) | 2023.11.13 |